사기 유형별 설명
및 대처 요령
  •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 스미싱
  • 메신저 피싱
  • 온라인 쇼핑·중고거래 사기
  • 투자·다단계 사기
  • 임대·보증금 사기
  • 취업 사기

01.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수사기관, 금융기관, 출입국기관 등을 사칭하여 “귀하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었다”거나 “체납금이 발생했다”는 등의 내용으로 피해자를 속여 금전을 이체하도록 유도하는 대표적인 금융사기 유형입니다.
  • 피해 사례

    A씨는 경찰을 사칭한 자로부터 “불법 송금 혐의가 있어 계좌가 정지될 수 있다”는 전화를 받고, 불안한 마음에 700만 원을 이체함. 이후 연락이 두절됨.

  • 대처 요령

    1. 1)

      수사기관 또는 금융기관은 전화로 개인정보나 계좌이체를 요구하지 않으며, 이 같은 요구가 있을 시 즉시 통화를 종료하고 112에 신고하십시오.

    2. 2)

      이미 송금을 한 경우에는 신속히 신고하여 해당 계좌에 대한 지급정지 요청이 가능하도록 하십시오.

    3. 3)

      현금 수거책(현금 인출책) 등 범행 가담자도 형법상 공범으로 처벌될 수 있으므로, 관련 제안이 있는 경우에도 즉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02. 스미싱
택배 도착, 지원금 신청, 벌금 고지 등 공공기관 또는 업체를 사칭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여, 수신자가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하고 악성앱을 설치해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소액결제를 유도하는 방식의 사기입니다.
  • 피해 사례

    B씨는 “택배가 도착했습니다”라는 문자를 받고 링크를 클릭한 뒤 스마트폰에서 알 수 없는 앱이 설치되었으며, 며칠 후 본인도 모르게 15만 원이 결제됨.

  • 대처 요령

    1. 1)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에 포함된 링크는 클릭하지 마시고 즉시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2. 2)

      택배 및 공공기관은 앱 설치나 금융정보 입력을 문자로 요구하지 않습니다.

    3. 3)

      의심스러운 앱 설치가 확인되면 즉시 통신사 고객센터나 보안 전문기관을 통해 점검을 받으십시오.

03. 메신저 피싱
가족, 친구 등을 사칭하여 메신저(카카오톡, 페이스북 등)를 통해 금전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피해자가 실제 지인인 줄 알고 돈을 송금하게 만드는 사기입니다.
  • 피해 사례

    C씨는 언니로부터 “휴대폰이 고장 나서 다른 계좌로 송금해달라”는 메시지를 받고 30만 원을 송금했으나, 이후 언니는 그런한 요청을 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

  • 대처 요령

    1. 1)

      금전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반드시 직접 전화나 영상통화로 본인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2. 2)

      상대방이 통화를 회피하거나 재촉할 경우에는 사기로 의심하시고 송금을 중단하십시오.

    3. 3)

      사기 메시지를 받은 경우 메신저 운영사에 신고 및 계정 차단을 요청하십시오.

04. 온라인 쇼핑·중고거래 사기
SNS, 중고거래 앱,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허위 물품을 등록하고 선입금을 유도한 뒤 물품을 배송하지 않거나, 가짜 송장번호를 전달하고 연락을 끊는 사기입니다.
  • 피해 사례

    D씨는 SNS에서 중고 휴대폰을 싸게 판다는 글을 보고 판매자에게 40만 원을 송금했으나, 물건은 배송되지 않았고 계정이 삭제됨.

  • 대처 요령

    1. 1)

      거래는 신뢰 가능한 플랫폼에서 안전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행하십시오.

    2. 2)

      거래 전에는 판매자의 실명, 계좌, 연락처 등을 확인하고 후기 여부도 검토하십시오.

    3. 3)

      피해 발생 시 거래 내역 및 대화 내용을 보존하여 경찰에 제출하십시오.

05. 투자·다단계 사기
가상화폐, 부동산, 투자 상품 등을 이용해 “원금 보장”, “고수익 단기 회수” 등의 문구로 투자를 유도하고, 실제로는 투자금을 편취하는 유형입니다. 지인을 통한 다단계 형식으로 확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피해 사례

    E씨는 “100만 원 투자 시 2개월 내 150만 원 보장”이라는 말을 듣고 투자했으나, 수익 지급은커녕 연락이 두절됨.

  • 대처 요령

    1. 1)

      확정 수익 또는 고수익 보장을 내세우는 투자 권유는 반드시 의심하십시오.

    2. 2)

      투자 관련 사업자는 금융감독원 등록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3. 3)

      피해 발생 시 지인들에게도 정보를 공유하고 2차 피해 확산을 차단하십시오.

06. 임대·보증금 사기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거나 이미 계약된 주택에 대해 임대 계약을 유도하고 계약금 또는 보증금을 받고 도주하는 수법입니다. 외국인을 상대로 중복 계약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피해 사례

    F씨는 중개인이라고 주장하는 자로부터 방을 소개받고 100만 원을 송금했으나, 해당 방은 이미 다른 세입자가 거주 중이었고 해당 인물과는 연락이 되지 않음.

  • 대처 요령

    1. 1)

      임대계약은 반드시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서를 작성하십시오.

    2. 2)

      등기부등본 및 임대인의 신분을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3. 3)

      계약 전 선입금을 요구하는 경우 주의를 기울이시고, 임대인 명의 계좌로 송금하십시오.

07. 취업 사기
“고수익 보장”, “비자 지원” 등을 빌미로 허위 구직 정보를 제공하고 입사비, 수수료 등을 받은 후 잠적하거나, 유흥업소 등 비의도적 직장으로 유도하는 사기입니다.
  • 피해 사례

    G씨는 “월 400만 원 수익 보장”이라는 광고를 보고 30만 원을 송금했지만, 실제로는 불법 유흥업소 취업을 유도한 것으로 확인됨.

  • 대처 요령

    1. 1)

      구직은 반드시 정부 공인 워크넷 등 공신력 있는 채널을 이용하십시오.

    2. 2)

      여권, 보증금, 수수료 등을 요구하는 채용 공고는 사기 가능성이 높습니다.

    3. 3)

      피해 발생 시 관련 자료(광고, 계좌, 대화기록)를 확보하여 경찰에 신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