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사례
A씨는 경찰을 사칭한 자로부터 “불법 송금 혐의가 있어 계좌가 정지될 수 있다”는 전화를 받고, 불안한 마음에 700만 원을 이체함. 이후 연락이 두절됨.
대처 요령
1)
수사기관 또는 금융기관은 전화로 개인정보나 계좌이체를 요구하지 않으며, 이 같은 요구가 있을 시 즉시 통화를 종료하고 112에 신고하십시오.
2)
이미 송금을 한 경우에는 신속히 신고하여 해당 계좌에 대한 지급정지 요청이 가능하도록 하십시오.
3)
현금 수거책(현금 인출책) 등 범행 가담자도 형법상 공범으로 처벌될 수 있으므로, 관련 제안이 있는 경우에도 즉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피해 사례
B씨는 “택배가 도착했습니다”라는 문자를 받고 링크를 클릭한 뒤 스마트폰에서 알 수 없는 앱이 설치되었으며, 며칠 후 본인도 모르게 15만 원이 결제됨.
대처 요령
1)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에 포함된 링크는 클릭하지 마시고 즉시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2)
택배 및 공공기관은 앱 설치나 금융정보 입력을 문자로 요구하지 않습니다.
3)
의심스러운 앱 설치가 확인되면 즉시 통신사 고객센터나 보안 전문기관을 통해 점검을 받으십시오.
피해 사례
C씨는 언니로부터 “휴대폰이 고장 나서 다른 계좌로 송금해달라”는 메시지를 받고 30만 원을 송금했으나, 이후 언니는 그런한 요청을 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
대처 요령
1)
금전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반드시 직접 전화나 영상통화로 본인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2)
상대방이 통화를 회피하거나 재촉할 경우에는 사기로 의심하시고 송금을 중단하십시오.
3)
사기 메시지를 받은 경우 메신저 운영사에 신고 및 계정 차단을 요청하십시오.
피해 사례
D씨는 SNS에서 중고 휴대폰을 싸게 판다는 글을 보고 판매자에게 40만 원을 송금했으나, 물건은 배송되지 않았고 계정이 삭제됨.
대처 요령
1)
거래는 신뢰 가능한 플랫폼에서 안전결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행하십시오.
2)
거래 전에는 판매자의 실명, 계좌, 연락처 등을 확인하고 후기 여부도 검토하십시오.
3)
피해 발생 시 거래 내역 및 대화 내용을 보존하여 경찰에 제출하십시오.
피해 사례
E씨는 “100만 원 투자 시 2개월 내 150만 원 보장”이라는 말을 듣고 투자했으나, 수익 지급은커녕 연락이 두절됨.
대처 요령
1)
확정 수익 또는 고수익 보장을 내세우는 투자 권유는 반드시 의심하십시오.
2)
투자 관련 사업자는 금융감독원 등록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3)
피해 발생 시 지인들에게도 정보를 공유하고 2차 피해 확산을 차단하십시오.
피해 사례
F씨는 중개인이라고 주장하는 자로부터 방을 소개받고 100만 원을 송금했으나, 해당 방은 이미 다른 세입자가 거주 중이었고 해당 인물과는 연락이 되지 않음.
대처 요령
1)
임대계약은 반드시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서를 작성하십시오.
2)
등기부등본 및 임대인의 신분을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3)
계약 전 선입금을 요구하는 경우 주의를 기울이시고, 임대인 명의 계좌로 송금하십시오.
피해 사례
G씨는 “월 400만 원 수익 보장”이라는 광고를 보고 30만 원을 송금했지만, 실제로는 불법 유흥업소 취업을 유도한 것으로 확인됨.
대처 요령
1)
구직은 반드시 정부 공인 워크넷 등 공신력 있는 채널을 이용하십시오.
2)
여권, 보증금, 수수료 등을 요구하는 채용 공고는 사기 가능성이 높습니다.
3)
피해 발생 시 관련 자료(광고, 계좌, 대화기록)를 확보하여 경찰에 신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