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사례
A씨는 늦은 밤 편의점 앞에서 모르는 남성에게 “외국인은 나가라”는 폭언과 함께 얼굴을 가격당하는 피해를 입었음.
대처 요령
1)
폭행을 당한 경우 즉시 112에 신고하고, 현장 영상을 촬영하거나 목격자를 확보하십시오.
2)
병원 진료를 받을 경우에는 진단서를 발급받아 경찰에 제출하십시오.
3)
혐오 동기가 의심될 경우, 경찰 조사 시 반드시 진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피해 사례
B씨는 귀가 중 술에 취한 한국인 남성에게 이유 없이 밀침과 얼굴 가격 등의 폭행을 당했음.
대처 요령
1)
위험 상황 시 근처 가게나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 뒤 112에 신고하십시오.
2)
가해자가 도주한 경우 외모, 복장, 차량번호 등을 기억하여 경찰에 제공하십시오.
3)
CCTV 영상 확보나 목격자 진술은 수사에 큰 도움이 되므로 경찰에 적극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피해 사례
C씨는 교제 중인 한국인 남성과 헤어진 후, 상대가 집 앞에 찾아와 팔을 잡아끄는 등 물리적 폭력을 행사하며 위협함.
대처 요령
1)
신체적 위협이나 협박을 받았을 경우에는 즉시 112에 신고하십시오.
2)
문자, 통화기록, CCTV 영상 등 증거를 보존하고 경찰에 제출하십시오.
3)
반복적 접근이나 위협이 있는 경우에는 접근금지 신청 또는 보호조치를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피해 사례
D씨는 한국인 배우자와 결혼 후, 술을 마신 남편에게 반복적으로 맞고 욕설을 듣는 상황이 수개월간 지속되었으나, 체류 자격이 박탈될까 두려워 피해 사실을 말하지 못함.
대처 요령
1)
배우자나 가족으로부터 폭행을 당한 경우에는 즉시 112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2)
외국인 피해자의 경우, 상담센터나 쉼터를 통해 보호조치 및 체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피해 사실은 외부로 비밀이 보장되며, 가족과 분리된 안전한 장소에서 상담 및 법적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피해 사례
E씨는 식품공장에서 관리자에게 머리를 맞고,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는 반복적인 모욕을 당했음.
대처 요령
1)
폭력이나 폭언이 반복되는 경우, 녹음 또는 날짜·시간·내용을 상세히 기록하십시오.
2)
관련 피해는 노동청,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또는 경찰서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
부당한 해고나 불이익을 받았을 경우에는 무료 법률상담을 통해 구제 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